안녕하세요, 즌입니다 : )
폐기물 공부를 하다보니 어느새 유튜브 알고리즘에도 관련 영상들이 뜨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지정폐기물 산업의 전망에 관한 영상이 떠서 보면서 알게된 정보들을 요약/정리해보았습니다 !
'매일경제TV'의 '지정폐기물, 안정성/성장성 다 잡는다'라는 영상입니다.
채널명에서 알 수 있듯이, 경제 관련 영상이라 폐기물 관련주 얘기가 주된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2020년 11월 30일 영상입니다..! 그저 가볍게 공부하는 느낌으로 정리해본 글입니다.ㅎㅎㅎㅎ,,,
(관련주 이야기는 따로 적지 않았으니 궁금하신 분들 영상을 봐주세요! 아래에 링크를 첨부해두었습니다.)
https://youtu.be/9I0jK3tkTKA

지정폐기물 산업에 관하여
- 폐기물 처리업을 보통 안정적인 산업, 배당매력만 부각이 되는 산업이라고 생각하지만, 성장성도 겸비하고 있다.
- 폐기물 처리단가가 급격히 상승 중이며 앞으로도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
왜 처리단가가 상승하는가?
- 전형적인 수요과잉의 시장
- 지정폐기물은 GDP성장률과 동행, 꾸준이 증가하고 있다.
- 묻을 수 있는 량 = 잔여용량이 2014년 피크 이후로 계속 떨어지는 중
- 인허가가 추가적으로 나기 어려워 전형적인 공급 부족 시장 -> 계속 단가가 올라갈 듯
폐기물 산업 중에서도 지정폐기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1. 처리단가
- 일반페기물 대비 처리단가가 6~11배 높다.
- 유해성, 기술력의 한게, 님비현상 등으로 단가가 상승한다.
2. 전형적인 인허가 사업
- 지정폐기물 산업은 공급 부족이 심하다. 유해성을 띠고 있기 때문
3. 지정폐기물 시장은 관이 개입할 여지가 적다.
(들리기로는 '관'이라고만 들리는데, 주식관련 영상이기 때문에 저는 '기관'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따로 설명이 없어서ㅠ)
- 일반 폐기물 -> 전국민이 배출, 폐기물 처리 과정이 어렵지 않음 -> 관의 개입이 쉬움
- 지정 폐기물 -> 에어돔 붕괴, 침출수 유출 등의 사고가 있음 -> 관이 관리하다가 사고가 나면 환경부나 시민의 반발
단가가 계속 상승할 여력이 높다.
환경규제 강화
(2020년 5월 27일에 생긴 변화입니다.)
- 폐기물 처리업체에 한해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과징금, 징역등의 규제가 있었으나,
앞으로는 배출업체, 운반업체들도 처리가 되지 않으면 과징금을 받게 됨
- 과거에는 처리업체가 한번 인허가를 받으면 사업을 영속적으로 영위 가능했으나,
이제는 5년마다 한번씩 검증을 받아야함. 퇴출될 가능성도 있다.
- 코로나로 의료폐기물이 남발 중 -> 한국의 의료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처리가 불가능하자 지정폐기물 소각시설에 맏기는 중
- 지정폐기물 업체의 추가적인 수혜
이게 1년 전의 상황인데, 현재 상황으로 보면 지정폐기물 산업의 수요가 더 커지면 커졌지 작아지진 않은 것 같네요.
코로나로 인한 의료폐기물도 감당이 불가한 수준이니까요ㅠㅠ
지정폐기물 자체에 대해서 공부만 하다가 이렇게 전체적인 산업에 관한 정보를 보니 더 현실성이 느껴집니다.

'* 환경 공부 > 폐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기물 열분해에 관해 개정/신설된 법규 (2022년 3월 4일부터) (0) | 2022.03.08 |
---|---|
2022년 1회 폐기물 처리기사 필기 합격 수기 (0) | 2022.03.06 |
지정폐기물의 종류 (폐기물 관리법) (0) | 2022.02.22 |
폐기물 소각로의 종류와 특성 (0) | 2022.02.19 |
청정개발체제(CDM)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세계 품앗이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