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로의 종류에는 크게 다섯가지가 있습니다.
화격자 소각로 (스토커식 소각로)
유동층 소각로 (유동상 소각로)
로터리 킬튼식 소각로 (회전로)
다단로 방식 소각로
액체 주입형 소각로
다섯 가지의 소각로의 종류와 특성을 공부해보았습니다!
1. 화격자(스토커식) 소각로
화격자 소각로는 화격자의 상부에 폐기물을 공급하고, 하부에 공기를 송풍하여 연소하는 소각로이며,
생활폐기물을 소각하는 가장 대표적인 소각로입니다.

상부에서 폐기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경사형이나 계단식으로 되어있어 폐기물을 아래로 운반합니다.
고온 중에서 기계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금속부의 마모 손실이 심한 편입니다.
화격자 소각로처럼 공기가 아래쪽에서 위쪽의 폐기물에 공급되는 방식을 상향연소방식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공기가 위에서 아래로 공급된다면 하향연소방식이라고 합니다.)
이런 상향연소방식으로 가연성이 적은 폐기물을 연소하면 연소속도가 빨라 유리합니다.
2. 유동층(유동상) 소각로
유동층 소각로는 밑에서 가스를 주입하여 불활성층을 띄운 후 가열시키고,
상부에서 폐기물을 공급하여 태우는 방식의 소각로입니다.

세로형의 원통 용기의 바닥 부분에, 가스 분산판을 장치하고 모래 등의 내연성 분립체를 충전한 노가 있습니다.
이 노를 유동매체로 하여 분산판 밑쪽으로 넣어주는 열풍으로 유동하게 되며,
이 유동층 내에 소각 물지를 공급하여 건조/분해/소각합니다.
유동층 소각로의 특징들로는,
- 슬러지 소각에 활용한다.
- 기계적 구동부분이 적어 고장률이 낮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 연소 효율이 높아 미연소분이 적고, 2차 연소실이 불필요하다.
- 유동매체의 열용량이 커서 액상, 기상, 고형폐기물의 전소 및 혼소가 가능
- 유동매체의 축열량이 높은 관계로 단기간 정지 후 가동 시 보조연료 사용 없이 정상 가동이 가능하다.
- 상으로부터 찌꺼기의 분리가 어렵다.
- 반응시간이 빨라 소각시간이 짧다. (로부하율이 높다.)
- 투입이나 유동화를 위해 전처리(파쇄)가 필요하다.
- 가스의 온도가 낮고 과잉공기량이 낮아 질소산화물 배출이 적다.
등이 있습니다.
3. 로터리 킬른식 소각로 (회전로)
로터리 킬른식 소각로는 회전하는 원통형을 가진 소각로이며, 회전로라고도 합니다.

로터리 킬른식 소각로는 넓은 범위의 액상, 고상 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습니다.
예열, 혼합, 파쇄 등의 전처리 없이 주입이 가능하며,
드럼이나 대형 용기를 그대로 집어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로에서의 공기의 유출이 크며, 열효율일 낮은 편입니다.
습식가스 세정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다단로 방식 소각로
다단로 방식 소각로는 원통형 외관의 바깥은 철판, 내화벽돌, 단열 캐스터블로 구성되고
내부는 6~12단의 화로 단상으로 이루어진 소각로입니다.
내화물을 입힌 가열판, 중앙의 회전축, 일련의 평판상을 구성하는 교반팔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반팔과 회전중심측의 가동부가 있어 유지관리비가 높은 편입니다.
다단로 방식 소각로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슬러지 소각에 활용한다.
- 천연가스, 프로판, 오일, 폐유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 체류시간이 길어 휘발성이 낮은 폐기물 연소에 유리하다.
- 다량의 수분이 증발되므로 수분함량이 높은 폐기물의 연소가 가능하다.
-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온도반응이 더디다.
- 늦은 온도 반응 때문에 보조연료사용을 조절하기 어렵다.
- 분진발생량이 많다.
- 유해폐기물의 완전분해를 위해서는 2차연소실이 필요하다.
5. 액체 주입형 소각로
액체 주입형 소각로(액상소각로)는 액상폐기물 처리를 위한 소각로로,
액상폐기물 공급설비, 액상폐기물 분무노즐, 완전연소를 위한 버너설비, 소각로로 구성됩니다.

액체 주입형 소각로는 구동장치가 없어 고장이 적습니다.
노즐을 이용하여 액체를 미립화하여야며, 고형물의 농도가 높으면 버너가 막힌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소각재의 배출설비가 없으므로 회분함량이 낮은 액상폐기물에 사용합니다.
* * * * * * * * * * *
참고
http://www.gandtech.co.kr/
(주)지앤텍
www.gandtech.co.kr
'* 환경 공부 > 폐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정폐기물 산업의 안정성, 성장성 (0) | 2022.02.23 |
---|---|
지정폐기물의 종류 (폐기물 관리법) (0) | 2022.02.22 |
청정개발체제(CDM)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세계 품앗이 (0) | 2022.02.18 |
우리가 버린 쓰레기가 가는 길 (다큐멘터리 "버려진 풍요, 쓰레기 여행" 후기) (0) | 2022.02.09 |
전기차 폐배터리, 국내외 전망은 ?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0) | 2022.02.06 |